[경제읽기] 원·달러 환율 1,230원대…7개월여 만에 최저 수준<br /><br /><br />한때 1,500원을 돌파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던 원·달러 환율이 오늘 1,230원대에서 개장하며 7개월여 만에 최저 수준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우리 금융시장을 압박했던 달러 강세 현상이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는 요인은 무엇인지, 향후 우리 경제 영향은 어떨지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원·달러 환율이 7개월 만에 최저 수준인 1,230원대로 개장했습니다. 달러 강세가 꺾인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하락세를 타기 시작한 원·달러 환율이 어디까지 내려갈지도 궁금합니다. 여기서 더 하락할 경우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요? 당장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둔 한국은행의 운신 폭은 좀 넓어졌다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일각에선 여전히 달러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는 변수가 적지 않다고 진단하는데 어떤 것들을 주목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지난해 미분양, 청약수요 위축 등으로 한파를 맞았던 분양시장 분위기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. 대규모 미분양이 우려됐던 단지들의 계약률도 오르는 분위기인데, 정부의 규제 해제 효과가 나타나는 걸까요?<br /><br /> 그동안 분양을 미뤄왔던 건설사와 재건축·재개발 조합들이 분양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졌지만, 분양가 상한제 적용은 물론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심사도 없어지게 된 만큼 전방위적인 분양가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인데요. 시장에 어떤 변수가 될까요?<br /><br /> 전방위적인 부동산 규제 완화가 부동산 거래 절벽의 숨통을 틔우기 위한 조치이긴 하지만, 급격하게 이뤄진 만큼 또 다른 경제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요. 어떤 부작용이 나올 수 있고, 어떤 접근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금리 인상기인 최근 사상 최대 수익을 이어가는 시중은행들이 기본급의 300~400%에 달하는 규모의 성과급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. 지난해 실적이 대체 어느 정도였기에 그런 건가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일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상단이 연 8%를 넘긴 것과 대조적으로 5%대까지 올랐던 시중은행 정기예금 최고 금리는 3%대까지 떨어져 금융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. 대출금리가 오른다면 예·적금 금리도 같이 올라가야 하는 것 아닌가요?<br /><br /> 금융당국은 과도한 대출금리 인상을 막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, 정부가 시장 금리에 개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이 점은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